교과통합 교육으로서 건축 교육 _김포 수남초등학교 건축교육 사례
페이지 정보
본문
어린이와 청소년들을 위한 건축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공교육화 해야 하며 국제 건축가 연합(UIA)에서는 학제 단계별 60시간 정도의 교육을 권장하고 있으며, 건축가와 교사간의 협력을 강조하고 있다.
“건축은 인간과 모든 총체적인 건조환경(Built Environment)사이의 관계를 다룬 다는 점에서 ‘인문학’의 범주에 속하며, 실제적으로 건축물을 짓는 과정을 다룬다는 면에서 ‘공학기술’이고,
예술적 감동과 감상의 대상이 된다는 점에서 ‘예술’이기도 하다.”즉,건축은 예술과 공학과 인문학이 결합된 학문으로 교과통합 학습에 가장 적합한 학문이다.
김포 수남 초등학교와 K12 건축학교는 창의적인 파트너 쉽을 구축하여 최초로 2012년 교과통합 교육으로서 건축 교실을 운영하였다.
김포 수남 초등학교는 전교생이 60명 밖에 안되는 작은 학교이지만, 혁신 초등학교로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건축교육은 교과 통합 뿐만이 아니라 5학년과 6학년 전체 27명의 학생을 통합하여 진행하였다.
건축교육을 학교 교육과정과 통합하는 작업은 학교의 선생님들이 담당하였으며, 교육에도 적극 참여하여 리포팅 을 하고 있으며, 향후 학교의 선생님들이 건축교육 프로그램을 직접 운영하는 최초의 학교 사례로서 교과 통합 건축교육의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첨부파일
-
웹용2교과 통합 건축교육_2012김포수남초등학교1-압축됨_compressed.pdf (3.4M)
0회 다운로드 | DATE : 2025-03-21 22:24:34
- 이전글자유학기제 건축교육 사례_연풍중학교 25.03.18
- 다음글어린이와 청소년들을 위한 건축교육 프로그램 우수사례 25.03.18